• 수도 : 스코피예(61.1만명)
• 인구 : 2,135,622명(2024년 추정치)
• 면적 : 25,713㎦(한반도의 약 1/4)
• 민족 : 마케도니아계(61.4%), 알바니아계(24.3%), 터키계(3.4%), 로마인(집시)(1.7%), 기타(2%)
• 종교 : 마케도니아정교(46.1%), 이슬람교(32.2%), 기타 기독교(13.8%)
• 정부형태 : 이원집정부제
(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 혼합)
• 의회 : 단원제(120석, 임기 4년)
- 85석은 직선으로, 35석은 정당득표율에 따라 선출
※ 주요 정당
- 국가통합민주당(VMRO-DPMNE), “EUROPEAN FRONT" 연합,
사회민주연합(SDSM), VLEN/VREDI 연합, The LEFT당 등
• 주요인사
- 대통령 : 고르다나 실랴노브스카-다브코바 (Gordana Siljanovska-Davkova) (24.5월 취임, 임기 5년)
- 총리 : 흐리스티안 미쯔코스키(Hristijan Mickoski)(24.6취임)
- 외교장관 : 팀초 무쭌스키(Timcho Mucunski) (24.6월 취임)
• 최근정세
- 91.0 구유고연방에서 독립
- 01.2 마케도니아 내전(슬라브계 정부 對 알바니아계 반군) 발발
- 01.8 Ohrid 평화협정 서명(EU, 미국, NATO 등 중재)
- 03.4 WTO 가입
- 06.8 그루에프스키(VMRO-DPMNE당) 총리 취임
- 09.5 이바노프(VMRO-DPMNE당) 대통령 취임
- 13.3 지방선거 실시 결과, 집권당 (VMRO-DPMNE당) 압승
- 14.4 총선 실시 결과, 집권당(VMRO- DPMNE당) 압승
- 14.6 이바노프 대통령 연임 및 그루에프스키 총리의 4번째 내각 출범
- 15.5 자에프 SDSM대표, 그루에프스키 총리의 불법도청 의혹 폭로 및 대규모 반정부시위 발생
- 15.7 EU의 중재로 여-야간 Przino 합의도출
- 16.1 그루에프스키 총리, Przino 합의에 따라 사임
- 16.6.5 조기총선 실시, 총선에서 승리한 VMRO-DPMNE, DUI와의 연정 구성을 시도하였으나 실패
- 17.6.1 자에프 총리(SDSM) 신정부 출범
- 17.10 지방선거 실시, SDSM이 총 81개의 지방 도시 중 57개의 시장 선거에서 승리
- 18.6. 그리스와 국명 합의(북마케도니아,Republic of North Macedonia)
- 19.2 ‘북마케도니아 공화국‘ 으로 국명 공식 변경 및 NATO 가입의정서 서명
- 19.5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대통령 취임
- 20.1 조란 자에프 총리 사임(EU 가입협상 개시 무산)
- 20.7 조란 자에프 총선결과 집권여당(SDSM) 연정 구성
- 20.12 조란 자에프 총리 사임(지방선거 패배)
- 20.12 디미터르 코바체브스키(SDSAM) 총리 정부출범
- 24.5 대선 및 총선 개최, VMRO-DPMNE의 Gordan Siljanovska-Davkova 후보 대통령 당선 및 취임
- 24.6 VMRO-DPMNE의 Mickoski 총리 내각 출범(알바니아계 야당 연합 VLEN/VREDI와 Znam과 연정 구성)
• 명목 GDP : 147.6억불
• 1인당 명목 GDP : 8,146.5불
• 교역규모 : 수출 78.83억불, 수입 106.70억불
• 경제성장률 : 1.03%
• 소비자물가상승률 : 9.4%
• 실업률 : 14.0% (추정치)
• 화폐 : 디나르(MKD) 1불당 약 56.95 디나르
• 주요자원 : 납, 아연, 구리, 니켈, 석탄, 석유, 목재, 담배 등
• 외교관계 수립: 2019.7.18
• 교역현황(2024.6월 기준, 한국무역협회)
- 수출 : 12.4 백만불(알루미늄 가공품, 승용차 등)
- 수입: 12.5 백만불(연초류, 기계류, 기타 정밀 화학제품 등)
• 주요인사 교류
(방문)
- 23.4 장성민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(대통령 특사)
- 23.11 정우택 국회부의장
(방한)
- 93.10 Andonov 부총리 방한
- 97.12 Buzlevski 경제부총리 방한
- 99.6 Kiprijanova 부총리 방한
- 92.06 Tancig 과학기술부 장관 방한
- 06.12 Taskovich 외국인 투자 유치 담당 장관 방한
- 08.8 Kerim 제62차 유엔총회의장 방한
- 09.6 Kerim 제62차 유엔총회의장 방한
- 17.7 Gruevski 총리 비공식 방한
- 22.9 Fatmir Bytyqi 경제 및 경제부문‧투자조정 담당 부총리 방한
(다자 계기 회담)
- 96.9 양국 외교장관회담(뉴욕)
- 23.9 양국 대통령 정상회담(UN 총회 계기)
• 동포현황 : 약 20명(2021년)
• 외교관계 수립 : 93.11.2
- 양국 모두 상주공관 미개설, 주불가리아 북한 대사관이 마케도니아 겸임
• 교역규모 (북마케도니아측 기준, 2021) 약 23만불
- 수출: 없음
- 수입: 230,061불 (차량 및 부품, 광학 의료기기 및 부품 등)